-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이들의 연대이자 안전망
임팩트얼라이언스
2025년 8월 이사회 후기
참석 : 김도진, 노순호, 도현명, 윤지현, 허재형, 사무국(전일주, 박정웅, 진가은) 일시/장소 : 2025년 8월 6일. 헤이그라운드 성수시작점 8층 라운지주요 논의사항2025년 상반기 운영보고- 회원사 : 153개소 (신규가입 12개사)- 7월까지 운영비 약 7천만원 소요. 하반기 운영을 위해 약 5천만원 필요.- 하반기 회비납부 공지 예정- 지난해에는 지정기탁사업에서 오는 기부금이 많은 도움이 되었는데, 관세 등 시장변화로 올해 하반기는 전망 불투명정책- 선거 전 정책간담회, 최근 국정기획위원회 간담회 참여- 임팩트 생태계만의 차별화되는 정책 목표를 정리해서 전달해야 하나 구체화를 위한 시간과 연구, 보완이 필요- 중기부, 과기부 등과 논의를 이어가고 있음- 정권교체 시기가 되다보니 여러 영역에서..
2025. 8. 19.
[후기] 플래닛 써밋 "임팩트 프로젝트 파이낸싱" (25년 05월)
2025년 5월 19일, 서울 성수동의 KT&G상상플래닛에서 '플래닛 써밋 : 임팩트 프로젝트 파이낸싱'이 진행되었습니다.임팩트얼라이언스, 피스윈즈코리아, 코끼리공장, 루트임팩트, 앤스페이스, 임팩트스퀘어, 월드비전 등 다양한 조직들이 함께 환경/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다른 내러티브, 다른 상상을 이야기하였습니다.현재 국내 임팩트 분야는 개별 솔루션과 단발성 프로젝트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어, 협업보다는 경쟁이, 실질적 임팩트보다는 가시적 성과 창출이 우선시되는 구조적 문제를 안고 있습니다. 특히 지분투자에 편중된 투자 환경은 규모가 작은 임팩트 조직들의 자금 확보를 어렵게 만들고 있습니다.반면 글로벌 임팩트 생태계는 프로젝트 파이낸싱을 통해 명확한 목표 설정과 성과 평가 기준을 바탕으로 다양한 규모의 조..
2025. 6. 6.